맨위로가기

The Soft Machine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프트 머신(The Soft Machine)은 1966년 결성된 영국의 캔터베리 씬의 중심 밴드 중 하나이다. 마이크 래틀리지, 로버트 와이엇, 케빈 에이어스, 데이비드 앨런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핑크 플로이드와 함께 UFO 클럽에서 공연하며 런던 언더그라운드 밴드로 활동했다. 1968년 데뷔 앨범 《The Soft Machine》을 발매했으며, 프로그레시브 록과 재즈 퓨전의 중요한 뿌리로 평가받는다. 앨범 발매 후 멤버 교체가 있었으며, 앤디 서머스가 잠시 참여하기도 했다. 앨범은 미국 빌보드 200에서 160위, 캐나다 RPM Top 앨범 차트에서 49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프트 머신의 음반 - Fourth
    Fourth는 소프트 머신이 1971년에 발매한 네 번째 스튜디오 음반이자, 마이크 래틀리지, 휴 호퍼, 엘튼 딘 등이 작곡한 곡들로 구성되었으며, 드러머 로버트 와이어트가 밴드를 떠난 후 발매된 밴드의 첫 번째 완전한 악기 음반이다.
  • 소프트 머신의 음반 - Third (소프트 머신의 음반)
    《Third》는 소프트 머신이 1970년에 발매한 앨범으로, 사이키델릭 음악에서 재즈로의 전환을 보여주는 캔터베리 신의 중요한 작품이며, 더블 LP 형식에 실험적인 곡들로 구성되어 평론가들의 극찬을 받았다.
  • 1968년 데뷔 음반 - Gris-Gris
    《Gris-Gris》는 1968년에 발매된 닥터 존의 데뷔 앨범으로, 뉴올리언스 음악과 사이키델릭 록을 융합하여 독특한 사운드를 선보였으며, 롤링 스톤 선정 역대 가장 위대한 앨범 500선에 포함되기도 한다.
  • 1968년 데뷔 음반 - Shades of Deep Purple
    Shades of Deep Purple은 딥 퍼플의 데뷔 앨범으로, 사이키델릭 록, 프로그레시브 록, 팝 록, 하드 록의 요소들을 결합한 사운드와 빌보드 차트 4위를 기록한 싱글 "Hush"를 통해 미국과 캐나다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자작곡과 커버곡을 수록하고 발매 후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재평가되고 있다.
The Soft Machine - [음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소프트 머신
종류스튜디오 음반
아티스트소프트 머신
소프트 머신 음반 커버
미국 커버
발매일1968년 12월
녹음일1968년 4월
녹음 장소레코드 플랜트 스튜디오, 뉴욕 시
장르사이키델릭 록
재즈 록
캔터베리 신
길이41분 30초
레이블미국: ABC, Probe CPLP 4500
프랑스: Barclay
프로듀서채스 챈들러, 톰 윌슨
싱글
싱글 1Joy of a Toy" b/w "Why Are We Sleeping?
싱글 1 발매일1968년 11월
소프트 머신 음반 연대기
이전 음반해당사항 없음
다음 음반Volume Two
다음 음반 발매년도1969년
평가

2. 결성 배경 및 초기 활동

소프트 머신은 1966년, 키보디스트 마이크 래틀리지, 드러머 겸 보컬 로버트 와이엇, 베이시스트 겸 보컬 케빈 에이어스, 기타리스트 데이비드 앨런과 래리 노울린으로 결성되었다. 이들은 캔터베리 씬을 대표하는 밴드 중 하나로, 핑크 플로이드와 함께 UFO 클럽에서 공연하며 런던 언더그라운드 씬의 주요 밴드로 자리매김했다.[3]

2. 1. 1967년 싱글 발매와 멤버 변화

1966년에 결성한 소프트 머신(캔터베리 신의 중심 밴드 중 하나)은 1968년 미국 투어에서 이 스튜디오 음반을 녹음하여 발매했다.

3. 데뷔 앨범 《The Soft Machine》 (1968)

1966년 캔터베리 신의 중심 밴드 중 하나로 결성된 소프트 머신은 1968년 지미 헨드릭스 익스피리언스와 함께한 미국 투어 도중 뉴욕에서 데뷔 앨범 《The Soft Machine》을 녹음했다. 채스 챈들러와 톰 윌슨이 프로듀싱을 맡았다.[3]

앨범 녹음 당시 밴드는 마이크 래틀리지, 로버트 와이어트, 케빈 에이어스의 3인조 구성이었다. 기타리스트 데이비드 앨런은 1967년 8월에 밴드를 탈퇴하여 을 결성했다.[3] 앨범이 완성된 후, 미래에 폴리스의 기타리스트가 되는 앤디 서머스가 밴드에 합류했지만, 단 두 달 만에 탈퇴했다. 케빈 에이어스는 그해 9월에 탈퇴하여, 밴드는 사실상 해체되었다가 그해 말 재결성되었다.[3]

이 앨범은 처음에는 미국, 캐나다, 프랑스에서만 발매되었으며 큰 반향을 얻지 못했다.[4] 하지만 회고적인 비평은 대체로 긍정적이었다. 올뮤직은 "사이키델릭 시대의 몇 안 되는 야심 찬 음반 중 하나로, 모든 놀라운 약속을 실제로 이행했다"라고 평가했다.[2]

원래 앨범 커버는 둥근 모양의 다이 컷 슬리브였으며, 밴드 멤버들을 아래에서 볼 수 있는 톱니바퀴가 있는 회전하는 휠 카드가 삽입되어 있었다. (비슷한 기법이 나중에 ''레드 제플린 III''에도 시도되었다). 오리지널 앨범의 게이트폴드와 뒷면 슬리브에는 알몸 소녀의 엉덩이 사진이 검열 없이 실렸다.

3. 1. 음악 스타일

1966년에 결성된 소프트 머신(캔터베리 신의 중심 밴드 중 하나)은 1968년 미국 투어에서 이 스튜디오 음반을 녹음하여 발매했다. 채스 챈들러와 톰 윌슨이 프로듀싱을 맡았다.[1]

이 음반은 프로그레시브 록재즈 퓨전의 중요한 뿌리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1]

3. 2. 앨범 구성

《The Soft Machine》 앨범은 크게 두 개의 사이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사이드에는 다양한 스타일의 곡들이 수록되어 있다. "Hope for Happiness", "Why Are We Sleeping?", "We Did It Again" 등은 이 밴드의 대표곡으로 꼽힌다.

2009년 리마스터 에디션에는 1967년에 발매된 첫 번째 싱글의 A면과 B면에 해당하는 "Love Makes Sweet Music"과 "Feelin' Reelin' Squeelin'"이 보너스 트랙으로 포함되었다.

3. 2. 1. Side One

제목작사/작곡재생 시간
Hope for Happiness케빈 에이어스, 마이크 래틀리지, 브라이언 호퍼4:21
Joy of a Toy케빈 에이어스, 마이크 래틀리지2:49
Hope for Happiness (Reprise)케빈 에이어스, 마이크 래틀리지, B. 호퍼1:38
Why Am I So Short?마이크 래틀리지, 케빈 에이어스, 휴 호퍼1:39
So Boot If At All케빈 에이어스, 마이크 래틀리지, 로버트 와이어트7:25
A Certain KindH. 호퍼4:11


3. 2. 2. Side Two

제목작사/작곡재생 시간
Save Yourself로버트 와이어트2:26
Priscilla케빈 에이어스, 마이크 래틀리지, 로버트 와이어트1:03
Lullabye Letter케빈 에이어스4:32
We Did It Again케빈 에이어스3:46
Plus Belle qu'une Poubelle케빈 에이어스1:03
Why Are We Sleeping?케빈 에이어스, 마이크 래틀리지, 로버트 와이어트5:30
Box 25/4 Lid마이크 래틀리지, 휴 호퍼0:49


3. 3. 2009년 리마스터 에디션

2009년 리마스터 에디션에는 1967년에 발매된 소프트 머신의 첫 번째 싱글 A면과 B면인 "Love Makes Sweet Music"과 "Feelin' Reelin' Squeelin'"이 보너스 트랙으로 포함되어 있다.

4. 앨범 발매 이후

데뷔 앨범 발매 후, 앤디 서머스가 밴드에 합류했다가 두 달 만에 탈퇴했고, 1968년 9월 케빈 에이어스의 탈퇴로 소프트 머신은 사실상 해체되었다. 이후 밴드는 재결성되어 활동을 이어갔다.

4. 1. 앤디 서머스의 합류와 탈퇴

The Soft Machine영어 데뷔 앨범 완성 후, 훗날 더 폴리스의 기타리스트가 되는 앤디 서머스가 잠시 밴드에 합류했으나, 두 달 만에 탈퇴했다.

4. 2. 케빈 에이어스의 탈퇴와 밴드 해체

1968년 9월, 케빈 에이어스가 밴드를 탈퇴하면서 소프트 머신은 사실상 해체되었다. 이후 밴드는 재결성되어 활동을 이어갔다.

5. 평가 및 영향

이 음반은 프로그레시브 록재즈 퓨전의 중요한 근본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3] 아방가르드 전자 음악과 자유 형식의 재즈 즉흥 연주를 결합하여, 이전보다 간결하고 전통적인 팝 음악에서 더 나이스와 유사한, 축소된 키보드 중심 트리오 형식으로 전환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특히, 마이크 래틀리지는 지미 헨드릭스의 제안에 따라 퍼즈 박스와 와우 페달을 사용하여 로우리 오르간 사운드를 강화했다.[3]

"Save Yourself"와 "So Boot If At All"(원래 제목과 가사는 "I Should've Known") 두 곡은 데이비드 앨런과 함께 1967년 4월에 녹음한 데모에서 파생되었다.[3]

처음에는 미국, 캐나다, 프랑스에서만 발매되었으며,[4] 큰 반향을 얻지 못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는데, 올뮤직은 "사이키델릭 시대의 몇 안 되는 야심 찬 음반 중 하나로, 모든 놀라운 약속을 실제로 이행했다"라고 극찬했다.[2]

원래 앨범 커버는 둥근 모양으로 잘려나간 슬리브에 밴드 멤버들을 아래에서 볼 수 있는 톱니바퀴가 있는 회전하는 휠 카드가 삽입된 형태였다. (이와 비슷한 기법이 나중에 ''레드 제플린 III''에도 시도되었다.) 오리지널 앨범의 게이트폴드와 뒷면 슬리브에는 알몸 소녀의 엉덩이 사진이 검열 없이 실려 있었다.[3]

6. 참여진

포지션이름비고
오르간마이크 랫지[5]
리드 기타, 베이스케빈 에이어스10번 트랙 리드 보컬,[7] 12번 트랙 스포큰 워드[7]
드럼, 리드 보컬로버트 와이엇
퍼즈 베이스휴 호퍼13번 트랙[8]
백 보컬더 케이크12번 트랙[9]


6. 1. 소프트 머신


  • 마이크 랫지 – 오르간[5]
  • 케빈 에이어스 – 리드 기타, 베이스,[6] 10번 트랙 리드 보컬,[7] 12번 트랙 스포큰 워드[7]
  • 로버트 와이엇 – 드럼, 리드 보컬

6. 2. 추가 참여진


  • 휴 호퍼 – 퍼즈 베이스 (13번 트랙)[8]
  • 더 케이크 – 백 보컬 (12번 트랙)[9]

7. 차트 성적

wikitext

차트 (1969)최고 순위
미국 빌보드 200160
캐나다 RPM49


7. 1. 미국

미국 ''빌보드'' Top LPs 차트에서 160위[10], 캐나다 ''RPM'' Top 앨범 차트에서 49위[11]를 기록했다.

7. 2. 캐나다

캐나다 RPM Top 앨범 차트에서 49위를 기록했다.[11]

참조

[1] 웹사이트 Soft Machine | Biography & History | https://www.allmusic[...]
[2] 웹사이트 The Soft Machine - ''The Soft Machine'' (1968) album review, credits & releases | AllMusic http://www.allmusic.[...] 2011-07-25
[3] 웹사이트 Soft Machine Chronology Part 1 http://www.calyx-can[...]
[4] 웹사이트 The Soft Machine https://www.discogs.[...] 2024-10-12
[5] liner notes The Soft Machine Probe Records
[6] 웹사이트 Robert Wyatt - Soft Machine https://www.disco-ro[...] 2023-03-10
[7] 웹사이트 Soft Machine-Works http://www.calyx-can[...] 2023-03-10
[8] 웹사이트 Perfect Sound Forever: Hugh Hopper http://www.furious.c[...] 2023-03-10
[9] 웹사이트 The Dead Rock Stars Club - The 1980s http://thedeadrockst[...] 2023-03-10
[10] 뉴스 Soft Machine charts http://www.allmusic.[...] AllMusic
[11] 웹사이트 RPM Top 50 Albums - February 3, 1969 http://www.collectio[...]
[12] 웹인용 Soft Machine | Biography & History | https://www.allmusic[...]
[13] 웹인용 The Soft Machine - ''The Soft Machine'' (1968) album review, credits & releases | AllMusic http://www.allmusic.[...] 2011-07-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